환경부 산하기관 임원 채용 과정에서 면접 자료를 제공받는 등 특혜가 의심되는 인물이 1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과정에서 환경부가 직접 나서 특정 후보자에게 모범 답안을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일부 기관의 실수가 아닌 조직적인 채용 비리 가능성에 대해 수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기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른바 환경부 블랙리스트로 불리는 문건이 작성된 건 지난해 1월. <br /> <br />이후 20여 명이 한국환경공단을 비롯한 환경부 산하기관 임원에 새로 임명됩니다. <br /> <br />앞서 이들 가운데 환경공단 상임감사 유 모 씨 등 한두 명이 면접 자료를 미리 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는데, <br /> <br />YTN 취재 결과 이런 채용비리 의혹에 관련된 것으로 의심되는 현직 산하기관 임원이 1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이후 임명된 환경부 산하기관 전체 임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숫자입니다. <br /> <br />[유 모 씨 / 한국환경공단 감사(지난 5일) : (특혜받았다는 사실 인정하십니까? 특혜 인정하십니까?) …….] <br /> <br />이들을 하나하나 불러 조사 중인 검찰은 환경부에서 직접 나서 후보자에게 면접 자료를 보낸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가 임원추천위원회 면접이 열리기 전 일부 후보자에게 이메일 등을 보냈는데, 면접에 유리한 참고용 내부 문건들도 이때 함께 전달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공모에 참여한 전체 후보자 가운데 특정 인물만 골라 일종의 모범답안을 건넨 셈입니다. <br /> <br />면접 자료를 고리로 한 채용비리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, 검찰 수사는 환경부를 넘어 청와대로 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산하기관 기관장 임명권자가 대통령인 점을 볼 때, 환경부가 청와대 인사 관여 없이 채용 특혜를 줬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앞서 이에 대해 청와대가 장관의 임명권 행사를 감독하는 것은 너무도 정상적인 업무 절차라고 해명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직적 채용비리일 가능성이 점차 커지는 가운데, 검찰이 그 책임을 어디까지 물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기완[parkkw061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1405133098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